티스토리 뷰

반응형


OSI 7 Layer가 나오게 된 이유?

- OSI 7 Layer의 등장 이전에 미국의 동-서부간 정보를 주고 받기 힘들었음
  (비행기로 6시간이 걸리는 거리를 원시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주고받음)
- 이를 개선하기 위해 컴퓨터도 전화처럼 쓰고자 했음 (컴퓨터 네트워크를 만듦)
- 이전까지는 각각의 네트워크를 사용했지만, 전세계의 네트워크를 하나로 묶어서 통합 시키려고 했음
- But, 기존의 네트워크는 각 네트워크별로 각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통합 시킬 수 없었음
- 그리하여 OSI 7 Layer라는 전세계의 네트워크를 하나로 묶기 위한 표준규칙이 되는 프로토콜을 규정
- 7 ? : 컴퓨터와 컴퓨터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때 필요한 기능을 일반화하여 분류하니 7가지 기능으로 분류

 

레이어의 개념과 사용이유?

- 1978년에 국제 표준화기구인 ISO(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)에서 서로 다른 두가지 시스템이
  하위 구조에 상관없이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국제 표준인 OSI(Open Systems Interconnect) 모델을 제정
- 레이어는 오브젝트를 각각의 레이어에 담아, 각 레이어의 독립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함
- 레이어를 사용하여 독립성을 부여함으로써 수정이 필요할 때
  다른 레이어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수정하는 레이어에서만 수정을 함
- 각 층이 무엇을 하던지 다른 층에서는 상관하지 않음, 다른 층에서 원하는 데이터 포맷만 보내주면 되기 때문
- 7개 계층은 서로 간에 독립적
- 어느 한 계층의 변경이 다른 계층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
- 네트워크 장치들은 7개의 계층 중 기능에 따라 필요한 몇 개의 계층만을 표준화에 따르면 정상적인 통신

 

OSI 7 Layer의 구성요소

- 컴퓨터와 컴퓨터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때 필요한 기능들을 일반화하여 분류하니 7가지 기능으로 분류
- 7계층 : 응용 계층 (Application)
- 6계층 : 표현 계층 (Presentation)
- 5계층 : 세션 계층 (Session)
- 4계층 : 전송 계층 (Transport)
- 3계층 : 네트워크 계층 (Network)
- 2계층 : 데이터링크 계층 (Data link)
- 1계층 : 물리 계층 (Physical)

반응형
댓글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