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반응형
 
 
 

 

MAC(Medium Access Control)

매체들의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
Data Link Layer에서 담당함

네트워크 구성요소

- Node와 Link
- Link
가 매체가 됨 (Link에는 무선과 유선이 있음)

Network Topology

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어떻게 구성하는지
네트워크 공유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지에 대하여

기존에 풀매쉬를 사용할 때 불편함이 있었음
(Node가 늘어날때 Link를 각 Node에 새로 연결하거나 Node가 줄어들때 각 Node에 연결을 해제해줘야하는 불편함)
-> 해결을 위해
 매체를 하나의 선으로 공유 (BUS), 하나의 장치로 공유 (STAR형)
-> 매체를 하나의 라인과 장치로 공유하니
충돌이 일어남 -> 충돌을 어떻게 제어할지 정의를 MAC에서 함

현재는 STAR형을 많이 씀

 

매체(라인, 장치)를 공유한다?

각각 노드와 노드 간의 전용라인이 없음
-> 데이터를 동시에 보낼 때  Collision(충돌) 발생
->
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제어를 하는 프로토콜 (MAC)

공유되어 있는 링크에서 한 시점에 하나의 데이터만 충돌하지 않고 전송하게 하려면?

1. Contention - 눈치껏, 자기 데이터를 보내려고 경쟁함 (WIFI, Ethernet)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노력함, 제어하고 있는 것 X

- 충돌확률? 증가,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 노드가 많아질수록 충돌확률 증가, 노드의 개수 증가와 비례

2. Cordination - 조종자가 있는 방법,

        1) 특정 시점에 데이터를 보내도록, 특정 시간에 특정 노드가 데이터를 보내도록 제어자 필요
           (5G, LTE->돈은 많이 들더라도 많은 수의 노드의 데이터를 보내는 것?)

        2) 각각의 노드들에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을 알려줘야함
           
맥 성능이 경쟁방식 보다 중요, 충돌확률은 줄어들었지만 구현시에 비용이나 난이도가 증가

- 충돌확률? 0에 가깝다.

 

경쟁과 조종으로 접근제어 기술을 달리씀

ex) WIFI에서 조종방식을 안쓰는 이유?

-> 조종이면 망을 구축하는데 힘들다.

WIFI의 경우 노드 숫자가 늘어나면 경쟁 늘어남, 충돌확률 증가,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를 저렴하게 쓸 수 있음

 
 
 
 
반응형
댓글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