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MAC(Medium Access Control)
매체들의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
Data Link Layer에서 담당함
네트워크 구성요소
- Node와 Link
- Link가 매체가 됨 (Link에는 무선과 유선이 있음)
Network Topology
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어떻게 구성하는지
네트워크 공유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지에 대하여
기존에 풀매쉬를 사용할 때 불편함이 있었음
(Node가 늘어날때 Link를 각 Node에 새로 연결하거나 Node가 줄어들때 각 Node에 연결을 해제해줘야하는 불편함)
-> 해결을 위해 매체를 하나의 선으로 공유 (BUS형), 하나의 장치로 공유 (STAR형)
-> 매체를 하나의 라인과 장치로 공유하니 충돌이 일어남 -> 충돌을 어떻게 제어할지 정의를 MAC에서 함
현재는 STAR형을 많이 씀
매체(라인, 장치)를 공유한다?
각각 노드와 노드 간의 전용라인이 없음
-> 데이터를 동시에 보낼 때 Collision(충돌) 발생
->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제어를 하는 프로토콜 (MAC)
공유되어 있는 링크에서 한 시점에 하나의 데이터만 충돌하지 않고 전송하게 하려면?
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노력함, 제어하고 있는 것 X
- 충돌확률? 증가,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 노드가 많아질수록 충돌확률 증가, 노드의 개수 증가와 비례
2. Cordination - 조종자가 있는 방법,
1) 특정 시점에 데이터를 보내도록, 특정 시간에 특정 노드가 데이터를 보내도록 제어자 필요
(5G, LTE->돈은 많이 들더라도 많은 수의 노드의 데이터를 보내는 것?)
2) 각각의 노드들에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을 알려줘야함
맥 성능이 경쟁방식 보다 중요, 충돌확률은 줄어들었지만 구현시에 비용이나 난이도가 증가
- 충돌확률? 0에 가깝다.
경쟁과 조종으로 접근제어 기술을 달리씀
ex) WIFI에서 조종방식을 안쓰는 이유?
-> 조종이면 망을 구축하는데 힘들다.
WIFI의 경우 노드 숫자가 늘어나면 경쟁 늘어남, 충돌확률 증가,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를 저렴하게 쓸 수 있음
'IT공부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Zscaler 설명 (0) | 2024.08.18 |
---|---|
[네트워크] TCP/IP Suit (0) | 2021.12.24 |
[네트워크] 인캡슐레이션과 디캡슐레이션 (0) | 2021.11.07 |
[네트워크] 헤더(header)와 페이로드(payload) (0) | 2021.11.07 |
[네트워크] OSI 3계층과 4계층 통신 (0) | 2021.10.22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인프라
- 네트워크
- OSI 7 layer
- 인프라공부
- Network
- 일본취업
- 일본어공부
- 리액트 문법
- 일본생활
- it
- WSL설치
- Es
- 리액트
- 면접
- 일본어면접
- WSL
- 일본어존경어
- 이력서
- 일본
- 엔트리시트
- 일본IT기업
- 일본어학습
- 일본어경어
- 인프라엔지니어
- React
- WSL2
- 해외취업
- 일본어
- 네트워크공부
- 일본어학습법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